
[에너지데일리 변국영 기자] 반도체, 전기차, 기계항공 등 첨단 및 주력 산업의 필수 소재인 희토류 등 희소금속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심화되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이 희소금속 활용 협력을 본격적으로 강화한다.
산업통상부는 20일 용산 피스앤파크에서 ‘제2차 희소금속 산업발전협의회’를 개최하고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 방안을 논의했다.
2차 협의회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희소금속 산업 발전대책’ 연구용역의 중간 결과가 공유됐다. 산·학·연 전문가들은 “최근 중국의 수출통제 강화 등으로 희토류를 비롯한 주요 희소금속의 수급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어 글로벌 공급망 동향을 면밀히 분석해 국내 산업 발전과 연계한 국가 핵심 희소금속 선정·관리의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날 협의회에서는 국가희소금속센터·고려아연·에이치케이머티리얼즈간 ‘게르마늄 협력 업무협약’이 체결됐다. 이번 협약은 지난 8월 고려아연이 미국 방산업체 록히드마틴과 게르마늄 협력 MOU를 체결한데 이어 국내 기업 간 상생 기반의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협력을 통해 고려아연은 아연 제련 과정의 부산물에서 게르마늄을 생산하고 에이치케이머티리얼즈는 이를 반도체용 가스로 정제·농축해 국내 반도체 기업에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또한 국가희소금속센터는 게르마늄 고순도화 기술 개발 및 산업 활용 확대를 위한 기업 간 연계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나성화 산업부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이번 업무협약은 단순한 기업간 제휴를 넘어 우리나라 희소금속 생태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글로벌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이 협력해 기술·공급망 역량을 함께 확보한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산업부도 이러한 민관 협업 모델을 적극 발굴·지원하고 오늘 논의된 산·학·연 전문가 의견을 희소금속 산업 발전 대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