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에너지가 미래 산업의 생존 조건입니다.” 수소환원제철, 데이터산업 등 고에너지 산업의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전력공급 대책이 시급하다는 산업계의 절박한 목소리가 국회에서 터져 나왔다. 산업계는 SMR(소형모듈원전) 등 신에너지원과 산업단지 간 연계를 핵심 해법으로 제시하며, 이제는 ‘싸고 많은 전기’보다 ‘항상 안정적인 전기’가 산업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입을 모았다.
허성무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창원시 성산구)은 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수소환원제철과 탄소저감을 위한 원전 활용 정책토론회’를 개최하고, 고에너지 산업의 전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실효적 에너지 정책 논의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이날 토론회는 서울대학교 원자력정책센터 주관, 포스코홀딩스 후원으로 열렸으며, 철강·데이터산업 등 고에너지 산업이 탄소중립 전환 과정에서 직면한 전력 수급 불안과 비용 급등 문제를 중심으로 SMR 기반 자가발전, PPA(전력구매계약) 제도 개선 등 다양한 대안이 논의됐다.
허 의원은 “수소환원제철은 단순한 기술 혁신이 아니라 철강산업의 생존이 걸린 문제”라며 “이제는 에너지 기술 개발을 넘어, 산업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정치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발제에서 포스코홀딩스 손병수 상무는 “수소환원제철은 고온·대용량 전기가 필수이며, 이를 위해 산업단지 인근에 SMR 등 신에너지원이 실제로 연결돼야 기술 실현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데이터산업계 역시 같은 목소리를 냈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 채효근 전무는 “RE100 실현을 위해 전력 선택권 확보가 시급하다”며 “싸고 많은 전기보다 언제든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이 더 중요한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이날 패널토론은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심형진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했으며, 산업계·학계·정부·노동계 전문가들이 다양한 입장을 공유하며 열띤 논의를 이어갔다.
김무환 전 포스텍 총장은 “수소환원제철뿐 아니라 반도체·데이터산업도 막대한 전력을 필요로 한다”며 “이제는 에너지를 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고, 이를 법과 제도로 뒷받침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원자력산업환경진흥협회 박기철 이사장도 “산업계는 원자력 기반 수소에 대한 수요가 충분하지만, 현행 제도하에서는 기업이 이를 선택할 수 없는 구조”라며, 규제 개선과 전력 선택권 보장을 촉구했다.
정부 역시 관련 사업화에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안세진 원전산업정책국장은 “민간 중심의 SMR 실증단지 조성을 검토 중”이라며 “산업단지 중심의 사업화 방향을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토론을 마무리하며 허 의원은 “정치의 역할은 산업이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주는 것”이라며 “오늘 논의된 다양한 대안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입법과 정책 과제를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토론회는 수소환원제철과 데이터산업 등 고에너지 산업의 현실을 직시하고, 산업계와 국회, 정부가 함께 해법을 모색한 뜻깊은 출발점이 됐다는 평가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