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고기·계란 가격 급등…‘미트플레이션’ 어디까지?

[ 사례뉴스 ] / 기사승인 : 2025-06-10 02:01:15 기사원문
  • -
  • +
  • 인쇄
[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지난달 돼지고기와 계란 등 주요 축산물 가격이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가운데 이달에도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체 소비자물가는 1%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수급 불안이 이어지는 축산물은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미트플레이션'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6월 축산 관측'에 따르면 육류 가격이 상승할 전망이다.[출처:이미지투데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6월 축산 관측'에 따르면 육류 가격이 상승할 전망이다.[출처:이미지투데이]




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이 발표한 '6월 축산 관측'에 따르면 이달 돼지고기·소고기·계란 가격이 모두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는 가격 급등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달부터 돼지고기 1만t에 대해 할당관세(0%)를 적용하고 있다.



계란 가격 급등과 관련한 산란계협회의 담합 여부에 대한 조사도 진행 중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6월 돼지 도매가격은 1㎏당 5900~6100원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 평년 대비 8.9% 높은 수준이다. 농경연은 "도축 마릿수가 줄고, 국내산 가공용 원료육 수급이 부족해 가격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상반기 돼지 도축 마릿수는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다.



소고기 역시 공급 감소로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보고서는 2분기 한우 도매가격이 전년 동기보다 5.7~8.6% 오른 1㎏당 1만8000~1만8500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계란 가격도 여전히 고공 행진 중이다. 농경연은 6월 계란 산지 가격이 특란 10개에 1850~1950원으로 1년 전보다 12.4~18.5%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평년 가격과 비교하면 9.9~15.8% 높은 수준이다.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는 산란계 고령화와 함께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전염성 기관지염(IB), 가금티푸스 등 질병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가 지목됐다.



이달까지 상승세가 이어지는 계란 가격은 7월부터는 다소 꺾일 전망이다. 농경연은 "여름철 비수기로 인해 소비가 줄며 특란 10개 기준 가격이 1750~1850원으로 소폭 하락할 것"이라고 밝혔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