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김영섭 대표. [그래픽=황민우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09/8120_14837_2537.jpg)
KT의 해킹 문제가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이에 KT 노조는 김영섭 사장이 책임을 지고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라는 입장을 내비쳤다.
앞서 KT는 개인정보 논란 초창기에 “개인정보 해킹은 없다”고 호언장담했다. 하지만 5561명의 가입자 IMSI(가입자식별정보)가 유출된 것이 확인되면서 김영섭 사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고개 숙였다.
KT새노조는 12일 성명서를 통해 KT 소액결제 해킹 사건의 진상이 드러날수록 관리 부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면서 ①초소형 기지국 관리 부실 ②잠재적 보안 위험 대응 필요 ③보안 체계 및 내부 관련성 조사 필요 ④경영진 책임 문제 등의 입장을 내놨다.
KT새노조는 “해킹 경로로 지목되는 초소형 기지국은 KT가 협력업체와 공동 개발해 수년간 홍보해 온 제품으로 이미 수십만 대가 전국에 설치됐다”면서 “문제는 이 기지국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고 지적했다.
또한 현재 전국에 설치된 수십만 대의 초소형 기지국이 잠재적 해킹 위험에 노출됐다면서 전수 조사가 필요하며 필요시 이를 전수 회수해 리스크를 원천 차단하는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초소형 기지국의 유선 인터넷 연결 구간이 해킹에 취약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KT가 취약한 보안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해 온 것은 아닌지와 규제 기관의 심사가 허술했던 것은 아닌지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경영진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KT새노조는 “김영섭 사장이 기자회견에서 사과는 있었지만 실질적인 책임 인정은 없었다”면서 “부실한 초기 대응과 허위 보고로 국민의 피해와 불안이 더욱 확산됐고 초시 경찰 신고를 받고도 늑장 대응으로 피해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이어 “개인정보 유출이 없다고 허위보고까지 했고 실제 금전 피해가 발생한 만큼 사태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면서 “이로써 통신 분야 전문성이 부족한 CEO의 문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이영진 기자 hoback@tleav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