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합천 해인사-창원 성주사 불상 2건, 보물 지정예고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07-02 14:58:18 기사원문
  • -
  • +
  • 인쇄
(사진제공=경남도) 국가보물로 지정예고된 해인사금동관음보살좌상
(사진제공=경남도) 국가보물로 지정예고된 해인사금동관음보살좌상

(경남=국제뉴스) 황재윤 기자 = 경남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복장유물(비지정)’과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경남도 유형문화유산)’이 국가유산청의 국가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2일 경남도에 따르면 이번에 지정 예고된 문화유산은 각각 고려 후기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불교조각 작품으로 예술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나 국가지정문화유산으로서 보존 가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복장유물’은 발원문을 통해 원래 성주 법림사 대장전에 봉안하기 위해 1351년 조성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고려 후기 불교조각의 도상과 양식을 밝혀줄 기준작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

법림사 폐사 이후 해인사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는 해인사 구광루에 모셔져 있다.

관음과 지장보살로 구성돼 현세와 내세의 구복적인 두 가지 신앙이 강조된 작품으로 고려시대 관음, 지장 신앙의 일면을 알 수 있는 좋은 사례로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진제공=경남도) 국가 보물로 지정예고된 성주사석조지장보살삼존상
(사진제공=경남도) 국가 보물로 지정예고된 성주사석조지장보살삼존상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승호(勝湖)를 비롯한 조각승들이 1681년 완성해 성주사에 봉안했다.

승호가 제작한 불석(佛石)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며 17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제작 당시의 완전한 구성을 유지하면서 원 봉안처에 전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역사적 의미가 있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지정예고된 보물에 대해 30일간의 각계 의견 수렴을 거친 뒤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이진희 경남도 문화유산과장은 “도내 학술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화유산을 적극 발굴해 국가지정문화유산 지정을 통해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jaeyuntop@naver.com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