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 분야에서 AI 기술의 개발과 도입이 확대되는 가운데, 현재는 자동화·예측 기술이 초기 단계지만 향후 AI 기반의 실시간 분석과 자율화·최적화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브리프는 다양한 지표를 활용해 전국과 부산의 해양수산 AI 국가연구개발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전국 대비 부산의 상대적 수준과 역량을 진단해, 지역 맞춤형 AI 연구개발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2019~2023년 해양수산부 소관 AI 관련 과제는 전국 1033건이다. 그중 부산은 356건(34.5%)을 차지해, 전국 단일 지역 중 최고 비중을 기록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총합(37.0%)과도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또 부산은 중소기업(126건), 대학(77건), 출연연구소(72건) 등 다양한 주체가 AI 관련 과제에 균형 있게 참여하고 있고, 특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부경대학교, 국립수산과학원 등 지역에 소재한 혁신기관들이 전국 최상위권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대비 기초연구(49.1%), 응용연구(28.8%), 개발연구(35.3%)는 높은 비율로 골고루 수행해, 초기 기술 창출부터 최종 개발 단계까지 균형 있는 연구개발 생태계를 갖췄다.
또 부산은 전국에 비해 품목지정형 과제(33.4%)와 하향식 과제(54.2%)를 수행하며 정부 정책의 실현을 선도했으며, 조선·해양시스템 관련 소프트웨어, 선형개발·성능해석기술, 어업기기·어선 등 특화 분야에서 현장 적용형 기술개발에 강점을 보였다.
부산은 해양수산 AI 연구개발 허브로서 연구개발 전 주기에 걸쳐 산·학·연이 고루 참여하는 활성화된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임무지향적 연구개발의 핵심 거점이자, 지역 산업현장과 연계한 기술개발의 주요 기지로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ISTEP 김영부 원장은 "AI 시대에서 부산이 해양수산 AI 연구개발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의 활성화와 산업 적용 강화가 필수적"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에 소재한 해양수산 특화 연구기관·대학을 중심으로 한 유기적인 협력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해당 브리프의 자세한 내용은 BISTEP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