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김종환 기자 = 서울시가 '약자와 동행하는 교통정책 실현'을 위해 장애인 이동수단을 대폭 확충하여 전국 유일 법정기준 대비 150% 확보를 추진하고, 운영을 개선하여 대기시간을 31.3% 단축했다.
서울시는 중증보행장애인의 이동권 강화를 위해 이동수단 확충과 이용편의 개선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장애인콜택시 운행 확대부터 비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바우처택시 활성화까지 포함하여 폭넓게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시행 중이다.
시는 그동안 중증보행장애인의 장애인콜택시 대기시간을 단축하고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특장차량인 특별교통수단을 법정대수 대비 150% 운영하기 위해 매년 지속적으로 증차하여 금년 말 목표달성을 앞두고 있다.
장애인콜택시 대기시간을 30분대로 유지하기 위해 장애인콜택시 증차와 함께 '23년 말부터 택시업계와 협업을 통해 장애인이동 차량을 추가 확충하고, 배차 및 운영방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장애인콜택시 대기시간을 단축한 요인은 차량 증차뿐 아니라 비휠체어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택시를 '23.9월 운영개선(요금인하, 이용횟수 증가, 운영차량 확대)하여 그동안 장애인콜택시를 이용하던 비휠체어 장애인의 이용수요가 대기시간이 짧은 바우처택시로 전환한 결과이다.
또한 특장차량 이용이 '23년 1,309천건에서 '24년 1,337천건으로 증가하였고, 시외 운행도 '23년 97천건에서 '24년 103천건으로 장거리 이용이 5.8% 증가하였다.
장애인콜택시 대기시간 단축과 함께 예측 가능한 일상을 보장하기 위해 전일접수제를 확대하고 배차방식을 개선하여 정시성 향상과 서비스 품질에도 좀더 세심한 관심을 기울이기로 하였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서울시는 교통약자를 위한 환경 조성을 위해 장애인 이동수단의 양적 확대와 질적 개선을 지속하고 있다"며 "시민 이동 지원을 넘어 포용적인 사회 문화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