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데일리 송병훈 기자] 한국서부발전(사장 이정복)이 지난 2023년 지진 피해로 도움이 필요한 네팔에 저탄소 벽돌 제조설비를 보급하는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추진한다.
서부발전은 지난 29일 네팔 카트만두에서 이노씨에스알, NH투자증권, 리저브카본, 현지 지방자치단체, 네팔건설협회 등과 저탄소 벽돌 제조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사업 공동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판크할시(市), 칸드바리시 등 사업대상지 지방자치단체장과 네팔 환경부·산업부,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유엔개발계획(UNDP), 글로벌녹생성장기구(GGGI) 관계자가 참석해 네팔 벽돌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기술 도입을 지지하고 관심을 드러냈다.
네팔은 지난 2023년 수도 카트만두에서 300km 떨어진 카르날리주(州) 자자르콧과 주변 지역에 발생한 강도 6.4의 대지진으로 사상자 400여명, 주택 파괴 3만5000여채 등의 인적, 물적 피해를 보고 아직 복구 중이다.
특히 연간 50억장 규모인 네팔 벽돌산업은 석탄을 연료로 벽돌을 굽는 전통 가마 방식에 머물러 있어 대기오염, 주민 생활환경 악화 등 환경오염 문제를 안고 있다.
서부발전은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화제 활용 저탄소 벽돌 제조 기술을 가진 이노씨에스알, 온실가스 감축 전문 컨설팅사 리저브 카본과 지난해 10월부터 국토교통부의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지원을 받기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하고 있다.
서부발전과 협약 참여사는 네팔에 20개 이상의 저탄소 벽돌 제조설비를 설치·운영하고 10년간 약 90만톤 이상의 온실가스 배출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유엔 감독기구가 인정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은 국가 간 이전할 수 있다.’는 파리협정 제6.4조에 따라 우리 기업이 네팔에서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하면 해당 실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설명이다.
마헤쉬 카렐(Mahesh Kharel) 바그마티주 판크할시장은 “기존 석탄가마는 대기질 악화 등 문제가 많다”며 “한국의 저탄소 벽돌 제조 기술은 환경·비용·사회적 측면에서 월등한 기술이기여 사업 성공을 위한 적극 지원을 약속한다”고 전했다.
서부발전 관계자는 “서부발전은 네팔의 생활환경 등을 개선하는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부합하는 환경·사회·투명 경영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