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HN 윤세호 인턴기자) 한미 고위급 '2+2' 통상 협의가 본격적인 협상 일정과 함께 공개되며 외교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 20일 정부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방미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21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오는 24일 오후 9시(한국시간)에 '한미 2+2 통상 협의’를 개최한다고 구체적인 일정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협의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진행되며, 한국 측에서는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이 공동 수석대표로 참석하고,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여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면전 속에서 진행되는 이번 회의는 한국이 미국의 우선 협상 대상국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부는 이번 협의가 미국 측 제안으로 이뤄졌다고 확인했으며, 이에 따라 협상 의지가 강한 미국의 입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직접 개입 가능성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 일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을 백악관에서 직접 만나 주일미군 방위비와 무역 현안을 논의한 바 있으며, 한국 장관급 인사와도 유사한 형식의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을 정부는 주시 중이다.

방위비 분담금이 협상 테이블에 오를지도 또 다른 관심사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을 현재의 9배에 육박하는 100억 달러 수준까지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으며, 최근 한 권한대행과의 통화에서도 관련 언급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안 장관은 지난 20일 KBS 방송에서 "미국 측이 방위비 의제를 제기한 바는 없다"고 밝혔으며, 한국 정부는 통상과 안보 이슈를 분리해 접근한다는 방침이다.
한미는 이미 바이든 행정부 말기에 오는 2026∼2030년까지 적용될 방위비 분담 협정을 체결해둔 상태로, 이로 인해 일본과 달리 협상이 급박하게 진행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는 이번 협상에서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 주요 품목의 관세 부담 완화를 중심으로, 조선 협력과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등도 지렛대로 활용할 계획이다. 한 권한대행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언급된 무역균형, 조선, LNG 3대 분야를 중심으로 구체적 관심 사항을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 안팎에서 이후 미국과의 관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우려도 크다.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이재민 교수는 이번 협상이 섣부른 타결로 이어질 경우 한국에는 불리할 수 있다며 경계했다.

최 부총리 역시 지난 15일 국회에서 "국익 차원에서 최대한 협상하고, 나머지는 새 정부가 마무리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밝혔으며, 안 장관도 "섣불리 협상을 타결하기보다는 양국이 호의적으로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한 권한대행은 21일 "정부와 기업, 국민, 정치권이 함께 협력해야 이번 대미 협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고 당부하며 협상 분위기 조성에 힘을 실었다.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