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전과정평가 협력 본격화

[ 환경일보 ] / 기사승인 : 2025-11-26 21:25:46 기사원문
  • -
  • +
  • 인쇄

자동차 전과정평가(LCA)는 원료 채취, 부품 제조, 완성차 생산부터 운행과 폐기까지 자동차 생애 전체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산출해 평가·관리하는 체계다. /사진=환경일보DB
자동차 전과정평가(LCA)는 원료 채취, 부품 제조, 완성차 생산부터 운행과 폐기까지 자동차 생애 전체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산출해 평가·관리하는 체계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는 11월 26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국내 자동차 업계와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LCA) 역량 강화 및 탄소중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자동차 전과정평가(LCA)는 원료 채취, 부품 제조, 완성차 생산부터 운행과 폐기까지 자동차 생애 전체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산출해 평가·관리하는 체계다.



이번 협약에는 주요 자동차 제작사 5개사와 부품사 16개사,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 참여했다. 협약은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자동차 전과정평가 제도 도입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국내 업계의 전과정평가 역량을 강화하고 공급망 내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해 자동차 산업의 탈탄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됐다.



최근 유엔 산하 ‘국제 자동차 규제조화포럼(WP.29)’은 전과정평가 전문가작업반을 구성해 내년 초 국제 채택을 목표로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2026년 6월부터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 배출량을 자발 보고하는 제도를 시행할 예정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러한 국제 동향에 대응하기 위해 2023년 6월부터 전과정평가 토론회(포럼)를 지속적으로 열어 산업계와 소통해 왔다.



또한 정부는 올해부터 국내 중소 부품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전과정 온실가스 평가 및 컨설팅 지원사업을 시작해, 제조공정 내 탄소배출량 평가·검증, 다배출 공정 감축 컨설팅, 실무자 교육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에는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방법 마련 및 국제 조화 추진 ▷탄소배출량 산정·검증 및 데이터 관리·추적 체계 구축 ▷중소 부품사 지원사업 활성화 및 교육 확대 ▷고배출 공정 분석 및 감축 진단 지원 ▷국외 인증 및 국제 규제 대응 지원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자동차 제작사와 부품사가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전과정 탄소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현장 중심의 실무 교육과 기술 지원을 통해 탈탄소 전환을 촉진할 계획이다.



업무협약 체결과 함께 자동차 전과정평가 토론회(포럼)도 열렸다. 1부에서는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및 대기환경 개선에 기여한 유공자 3명에게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표창이 수여됐다. 이어진 2부에서는 ▷국내외 전과정평가 동향 및 국내 기반 구축 현황 ▷중소부품사 지원사업 추진 현황 ▷자동차 부품 탄소발자국 산정지침 개발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절차 및 검증 매뉴얼 구축 등 전과정평가 준비 상황을 공유하고 업계 의견을 수렴했다.



금한승 기후에너지환경부 차관은 “국제 자동차 산업 경쟁의 중심이 탄소 효율성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필요한 제도적·기술적 기반을 빈틈없이 구축하고, 전과정평가 제도가 차질 없이 시행되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