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유럽연합(EU)이 오는 2025년부터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기후교육을 정규 교과에 포함하기로 하면서 교육 체계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번 조치는 EU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반영된 것으로, 27개 회원국이 공동으로 추진한다. 학생들은 기후과학의 기본 원리부터 지역사회 영향, 녹색 일자리와의 연계성까지 폭넓게 배우게 된다.
NDC에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적응, 사회·교육 정책이 통합돼 있으며, 교육이 포함될 경우 교사 연수, 학습 자료, 평가 기준 등이 기후정책 이행 지표로 관리된다. 이는 기후교육이 선택적 프로그램이 아니라 필수 정책으로 기능하게 되는 구조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교육 및 기후 관련 부서를 중심으로 학교 교육과정이 장기적인 기후 목표와 부합하도록 조정하고 있다. 관계자는 “기후교육은 미래 세대의 대응 역량을 높이는 핵심 기반”이라고 밝혔다.
EU는 특히 녹색기술(Green Skills) 양성을 핵심 목표로 제시했다. 학생들은 에너지 효율 관리, 지속가능한 농업, 기후 친화적 교통 설계 등 실제 적용 가능한 기술을 배우게 된다. 세계은행은 최근 분석에서 교육이 행동 변화와 혁신의 기반이라고 평가하며 기후대응정책에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녹색 역량에 대한 노동시장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링크드인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3년 사이 녹색 기술을 보유한 근로자는 12.3% 증가했으며, 관련 역량을 요구하는 구인 공고는 22.4% 늘었다. 유엔은 2030년까지 녹색 전환을 통해 1억 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생길 수 있다고 전망했다.
유럽에서는 유아 단계부터 기후교육이 강화될 전망이다. 초·중등학교에서는 과학, 지리, 경제, 시민 등 다양한 교과목에 기후 내용을 통합하는 방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교사 양성과정과 현직 연수에도 기후과학과 지역 영향 교육이 추가될 계획이다. 폴란드 환경부 카타르지나 브로나 국장은 “EU 차원의 기후교육 도입은 학생들에게 필요한 녹색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반면 한국의 기후·환경교육은 여전히 제한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 중학교 3258개교 중 환경 과목을 개설한 학교는 224개교(6.9%), 고등학교 2373개교 중 573개교(24.1%)였으며 중·고교 전체 개설률은 약 14.1%로 나타났다.
환경·기후 분야가 필수가 아닌 선택과목으로 운영되면서, 입시 중심 구조 속에서 개설률이 낮아지고 학생들의 교육 기회도 제한되는 상황이다. 스웨덴이 여러 교과에 기후변화를 통합하고, 이탈리아가 2019년 기후변화를 필수 교과로 지정한 것과 비교된다.
EU의 기후교육 체계가 본격 시행되면, 유럽의 학생들은 유치원 시기부터 고등학교 졸업까지 일상 교과 속에서 기후 문제를 자연스럽게 학습하게 된다. 기후교육은 특정 관심 분야를 넘어 21세기 시민에게 필요한 기본 역량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