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전남도는 착한가격업소 활성화 지원사업의 지원 대상을 전년도 598개소에서 705개소로 확대해 추진할 계획이다.
최 의원은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있는 업소들이 식자재비, 공공요금, 인건비 등 복합적인 비용 상승으로 경영 압박을 받고 있다”며 현장의 어려움을 지적했다.
이어 “지원 대상만 늘어날 경우 업소당 지원 수준이 충분하지 않아 정책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며 “업소당 최소 지원기준과 비용 구조 반영 여부 등을 재검토해 합리적 배분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단순 보조 중심의 지원방식으로는 지속가능한 경영 기반을 마련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컨설팅·교육 등 역량 강화 프로그램 확대, 중장기 지원체계 구축 등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최 의원은 “착한가격업소가 지역경제 안정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일회성 지원을 넘어 실질적인 비용 부담 완화와 경영 안정 장치가 병행되어야 한다”며 “전남도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후속대책을 마련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