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복원·소득창출 본격 시동"…경북도, '산림경영특구' 산주 설명회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11-24 00:11:17 기사원문
  • -
  • +
  • 인쇄
(경북=국제뉴스) 김진태 기자 = 경상북도는 11월 21일 의성군 점곡면사무소에서 초대형 산불 피해지역의 산림을 체계적으로 복원하고 지역 소득 기반으로 전환하기 위한 ‘산림경영특구’ 지정 추진에 앞서, 산주들의 이해와 참여를 높이기 위한 산림경영특구 산주 설명회를 개최했다.

(제공=경북도) 산림경영특구 대상지 산주설명회
(제공=경북도) 산림경영특구 대상지 산주설명회

이날 설명회는 산주를 비롯해 경북도와 의성군 관계자, 산림조합, 용역사 등이 참석해 제도 도입 취지와 향후 추진 방향을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산림경영특구’는 지난 10월 28일 시행된 「경북·경남·울산 초대형산불 피해구제 및 지원 특별법」에 새롭게 도입된 제도로, 개별 산주가 단독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산림경영을 공동·협업 방식으로 규모화해 안정적 수익 창출을 지원하는 모델이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산림경영특구의 개념과 필요성 ▶단계별 추진 계획 ▶특구 지정 시 제공되는 지원 내용 ▶참여 산주에게 돌아가는 혜택 등이 안내됐다. 이어 산주들의 질문과 의견을 직접 듣는 현장 중심 소통 시간이 진행되며 참여 분위기가 이어졌다.

경북도는 올해 3월 초대형 산불 피해를 입은 의성군 점곡면 동변리 일원 500ha를 산림경영특구 시범지로 추진할 계획이다.

해당 지역은 2018년 선도 산림경영단지로 지정돼 다양한 사업을 해왔으나, 이번 산불로 사업지 전역이 전소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

도는 앞으로 산주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특구 지정 절차를 진행하고, 의성 시범사업의 성과를 토대로 안동·영양·청송·영덕 등 다른 산불 피해지역으로 확대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산림경영특구는 행정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아니라 산주가 주체가 되는 협력형 모델”이라며 “이번 설명회를 계기로 산림 복원을 넘어 ‘새로운 소득의 숲’을 만드는 데 더 많은 산주가 참여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