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희수 의원은 “현장을 파악하지 않은 설계가 반복되면 안전사고와 예산 낭비가 뒤따를 수밖에 없다”며 교육행정의 책임성 강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19일 진행된 감사에서 ‘감사처리결과서’에 표기된 조치 내역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공유재산 무단점유 사안이 ‘완료’로 기록된 것을 두고 그는 “연고자도 찾지 못했는데 어떻게 완료인가”라며 “실제로 완료되지 않은 건은 ‘추진 중’으로 표기해 정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또한 10년째 반복 지적되고 있는 기초학력 부진 문제마저 ‘완료’로 표시된 점을 문제 삼으며 “형식적 보고가 반복되면 문제 해결은 요원하다. ‘완료’ 표기는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소리를 높였다.
20일 감사에서는 학교 시설 공사의 잦은 설계 변경 문제를 정면 겨냥했다.
김 의원은 영천 지역 초등학교 급식소 현대화 사업과 상주 지역 초등학교 공사 사례를 제시하며 “현장을 보지 않고 설계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특히 경산 지역 중·초등학교의 소방법 미준수 설계 변경 사례를 언급하며 “법규와 현장 조건조차 반영되지 않은 설계는 명백한 행정 실패”라고 꼬집었다.
이어 도심 폐교 활용 부족 문제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접근성 좋은 폐교를 학생 중심 복합체육·문화공간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학생 전용 다목적복합체육센터’ 건립을 대안으로 제안했다.
김희수 의원은 “이번 감사 지적이 문서상 시정 권고로 그치지 않고 실질적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교육행정의 내실화는 곧 학생 안전과 미래 교육의 기본토대”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