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벨기에코어오피스 부동산신탁 피해투자자 대책모임이 오전 11시 여의도 소재 금융감독원 본원 앞에서 시위하는 모습이다. [사진=양하영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06/7729_14265_3153.jpg)
“유럽 금융시장에 대해 무지한 자산운용사가 불량상품을 개발했고 금융감독원도 부실 인가를 했다. 국제금융시장에서 사기를 당해 900억원의 국부를 유출한 매국적 사건의 관점에서 금감원은 (본 사건을) 전향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 - 벨기에펀드 투자자 A씨
벨기에코어오피스 부동산신탁 피해투자자 대책모임은 19일 오전 11시에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감독원 본원과 한국투자증권 본사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한국투자증권과 우리‧KB국민은행이 지난 2019년 판매한 펀드 ‘벨기에코어오피스 부동산투자신탁2호’는 현재 전액 손실 상태다. 피해자만 2500여명 규모에 달하며 금일 시위에는 투자자 약 100명이 참여했다.
투자자들은 이 사태가 단순한 투자 실패가 아닌 명백한 정보 비대칭에 따른 불완전판매라고 주장했다. 해당 펀드는 안정적인 투자 상품으로 소개됐으나 선순위 대출 미상환으로 강제 매각되는 과정에서 판매사들이 피해자들에게 리스크 고지와 사전 설명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다. 투자자들은 대출 구조, 해외법인 자산관리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안내받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피해투자자 대책모임 김화규 회장이 이날 진행된 벨기에펀드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시위의 취지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양하영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06/7729_14268_3742.jpg)
피해투자자 대책모임 김화규 회장은 “금감원은 국민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 존재하지 않느냐”며 “이 자리를 통해 목소리를 높여 금융사와 금감원이 책임감 있게 역할을 수행하도록 촉구하고 더 나은 금융 환경을 만들어가기 위한 의지를 다지는 자리”라고 말했다.
투자자 A씨는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금감원의 임직원들이 금융소비자가 아닌 금융회사의 방패와 대변인 노릇을 하고 있다”며 “한투증권과 국민‧우리은행이 총체적인 책임을 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금융회사들은 모든 책임을 투자자들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A씨는 “이는 판매 직원들이 실적 달성을 위해 고객들에게 상품의 위험성을 숨긴 채 안전하면서도 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 상품이라고 속였다”라며 “판매 직원들조차도 중대한 과실로 상품의 위험을 모른 채 판매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전액 손실에 충격을 받고 투병 중인 투자자 B씨의 사례는 동생 C씨를 통해 발표됐다. C씨는 “(판매사가) 이율이 2~3% 더 높은 안전한 투자라고 해서 기존 투자 상품에서 (해당 펀드로) 변경했다”며 “(B씨는) 만기일이 지나 투자 원금이 0원이 됐다는 기막힌 통보에 극심한 스트레스로 갑상선 기능 항진증까지 걸렸다”고 호소했다.
이어 “한 푼이라도 더 높은 이자를 받으려고 넣어둔 돈이 만기 시 다 없어져 버릴 수도 있는 상품임을 설명 들었다면 어느 누가 이 상품에 투자했을까”라며 “누가 봐도 누가 들어도 불완전판매가 확실한 진실을 세상에 알려 정당한 보상이 이뤄지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시위 퍼포먼스를 위해 단순한 경제적 손실을 넘어 삶의 붕괴를 상징하는 꽃상여가 쓰였다. [사진=양하영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06/7729_14269_3941.jpg)
투자자 D씨는 “대법원 판례를 보면 금융위원회 가이드라인, 금융투자위원회 투자권유준칙 등에 펀드 판매자는 펀드의 핵심위험 내용을 고객에게 명확히 설명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며 “심지어 판매자도 투자설명서‧상품설명서도 제대로 보지 않았으며 (상품 정보를) 모르고 팔았다고 말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D씨는 “판매사 주장대로 펀드 위험을 전부 설명받았다면 고객들이 이해 못 하는 게 상식적인 판단이냐”며 “대법원 판례와 상식은 모두 판매자의 불성실판매를 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양하영 기자 hyy@tleav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