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학부모들은 “저도 너무 싫다. 애들도 다 알면서 하더라”, “우리 애도 매일 하는데 그런 내용이고 춤이었냐”, “내용 몰랐는데 알려줘야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유행의 일부일 뿐이다.’, ‘욕하거나 검열하는 건 잘못됐다고 생각한다’ 등의 반응도 있지만, 유튜브 채널 ‘잇츠라이브’에서는 조훈이 해당 노래 라이브 영상을 다음날 비공개 처리하고, 여자친구 출신 예린은 신곡 홍보를 위해 홍박사 챌린지에 참여했다 결국 삭제하는 등 홍박사 챌린지에 대한 여론이 좋지만은 않다.
아무리 성인용 개그를 소재로 만든 노래라 하더라도 미디어를 접하는 연령대가 낮아진 만큼 분별력이 낮은 아이들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방송이나 영화의 경우 심의위원회를 거쳐 아이들에게서 유해 매체를 차단할 수 있지만, 유튜브나 SNS 등 방송으로 분류되지 않는 콘텐츠들이 등장하면서 아동청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생각해보아야 하지 않을까라는 의문이 든다.
한편 과거 유행했던 다나카의 경우에는, 유흥업소 캐릭터 설정에 어눌한 발음을 희화화한다는 논란으로 갑론을박이 있기도 했다.
최미화 기자 choimh@idaeg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