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전립선비대증은 중년 이후 남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비뇨기계 질환으로, 전립선이 커지며 요도를 압박해 배뇨 곤란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증상은 소변 줄기 약화, 잔뇨감, 빈뇨, 야간뇨 등이 있으며, 악화되면 방광 기능 저하나 요로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조기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립선결찰술은 절개 없이 전립선 양쪽을 묶어 요도 공간을 확보하는 시술로, 전립선 조직을 제거하지 않는 방식이 특징이다. 시술 과정은 특수 실과 금속 앵커를 활용해 전립선의 좌우를 잡아당겨 고정하는 형태로 진행되며, 구조적 손상을 최소화해 일상 복귀가 비교적 빠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시술에 사용되는 의료기기는 ‘유로리프트(UroLift)’로, 앵커를 통해 전립선 양측을 고정해 요도 직경을 넓히는 기능을 한다. 보건당국 허가에 따라 전립선결찰술용 기기로 사용되고 있으며, 절개나 조직 절제를 동반하지 않는 비절개 치료법 가운데 하나로 분류된다.
전립선결찰술은 기존 절제술에서 보고된 역행성 사정 위험을 줄이는 점이 장점으로 언급되지만, 이는 개인의 해부학적 특성과 질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의료진 평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전신마취가 아닌 국소마취로 시행 가능한 경우가 많아 고혈압, 당뇨, 심혈관질환 등으로 수술 부담이 큰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소개되고 있다.
시술 후 일시적 배뇨 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으나 대부분 단기간 내 호전되는 것으로 보고됐다. 다만 전립선의 크기가 매우 크거나 요도 협착, 방광 기능 저하가 동반된 경우 적합하지 않을 수 있어 초음파 검사와 요류검사를 포함한 사전 평가가 요구된다.
비절개 치료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립선결찰술은 약물치료와 절제술 사이의 중간 단계 치료로 관심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배뇨 개선 정도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일률적으로 단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증상 진행 단계에 따른 맞춤형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이어지고 있다.
부산 스마일비뇨기과 우중원 원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전립선결찰술은 구조적 교정을 기반으로 해 회복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지만, 전립선 크기나 동반 질환에 따라 적응증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 원장은 “진단 단계에서 배뇨 상태, 잔뇨량, 방광 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치료 방침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