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화력발전소 인근 주민 75% 발암물질 '비소' 기준치 최대 15배 초과 검출 '충격'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04-24 17:53:35 기사원문
  • -
  • +
  • 인쇄
한국동서발전 당진화력발전소 모습(사진/백승일 기자)
한국동서발전 당진화력발전소 모습(사진/백승일 기자)

(당진=국제뉴스) 백승일 기자 = 국내 최대 규모 석탄화력발전소인 당진화력발전소 반경 2.5km 이내 거주하는 주민 75%에게서 1급 발암물질인 비소 농도가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치를 최대 15배 초과하는 수준으로 검출돼 지역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당진화력발전소의 지역 사회 피해 현황으로는 △건강 피해(주민 75%에서 발암물질 비소 고농도 검출, WHO 기준치 최대 15배 초과) △환경 오염(연간 대기오염물질 2만 톤 이상 배출, 국내 석탄화력 중 최악 수준) △행정적 문제(제한적인 건강조사 범위 및 예산 삭감) 등 이다.

22년간 당진화력발전소 청소 노동자로 근무하다 지난해 '탄분증(진폐증)' 진단을 받은 70대 박 모 씨, 발전소에서 30년간 일한 뒤 폐결절과 탄분섬유화증 진단을 받은 신 모(70) 씨 부부의 사례는 빙산의 일각이었다. 신 씨는 "동료 두 명은 폐암으로 세상을 떠났다"며 "발전소가 우리 삶을 송두리째 앗아갔다"고 울분을 토했다.

충청남도가 지난해 11월 당진화력발전소 반경 2.5km 내 주민 1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변 검진 결과, 무려 89명(75.4%)에게서 총 비소 농도가 WHO 권고치(100μg/L)를 넘어섰다. 특히 한 주민의 소변에서는 1,537.95μg/L라는 충격적인 수치가 나와 기준치의 15배를 기록했으며, 600μg/L 이상의 고농도 노출자도 5명이나 확인됐다. 비소는 장기간 노출될 경우 피부암, 폐암, 방광암 등을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로 알려져 주민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순천향대 천안병원은 검진 결과에 대해 "어패류 섭취 영향일 수 있다"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혔으나, 주민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당진화력발전소에서 근무한 이들의 비소 수치가 특히 높게 나타난 데다, 인근 태안화력발전소 주변 주민 97명 중 69%에서도 비소 고농도 노출 사실이 추가로 드러나면서 발전소 책임론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김병빈 당진발전소민간환경감시센터장은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중금속이 해양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오염된 어패류를 통해 주민 체내에 비소가 축적된 것"이라며 "발전소의 책임을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피해 주민들의 분노는 행정 당국과 발전사의 안일한 대응에 더욱 커지고 있다. 충청남도는 2017년부터 주민 건강조사를 실시했지만, 대상자를 60대 이상, 발전소 반경 2km 이내 거주자로 제한하고 발전소 퇴직자와 이주민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이와 대조적으로 보령, 태안 등 인근 지역에서는 이미 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발전사로부터 건강지원금을 확보하거나 군과 공동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당진시는 아직까지 뚜렷한 대책위원회조차 없어 피해 주민들이 고립된 채 고통받고 있다. 신 씨는 "같은 충남인데 왜 당진만 버려지는 것이냐"며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다.

당진환경운동연합은 △발전소 퇴직자 및 이주민을 포함한 전수 역학조사 △진폐증 산재 인정 및 국가 치료 지원 △석탄화력 조기 폐쇄 등을 요구하고 있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당진화력은 연간 3,600만 톤의 석탄을 태우며 2만 톤 이상의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환경적, 사회적 재앙"이라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2022년 기준 당진화력의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10,345톤, 황산화물 배출량은 11,892톤으로 국내 석탄화력발전소 중 최악의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수십 년간 묵묵히 탄가루와 싸워온 노동자들의 굳어버린 폐는 당진화력발전소의 어두운 그림자를 여실히 보여준다. 여기에 더해진 발암 물질 비소 중독의 공포는 지역 사회 전체를 깊은 불안감으로 물들이고 있다. 이제 더 이상 개인의 고통으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당진화력발전소와 행정 당국은 책임을 통감하고 투명한 조사와 실질적인 지원을 통해 주민들의 건강권을 회복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