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HN 양진희 인턴기자)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는 강원 강릉에 9월까지 뚜렷한 비 소식조차 없어 가을철 산불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10일 강원특별자치도와 기상청에 따르면, 강릉시의 최근 6개월 강수량은 341.7㎜로 평년의 36.4% 수준이며, 최근 1개월 강수량은 42.3㎜로 평년 대비 14.4%에 그친다.
한반도를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오는 13일 강릉에 비가 내릴 가능성은 70~80%로 예보됐지만, 이후 9월 내내 뚜렷한 강수 예보는 없는 상태다.
강릉뿐 아니라 영동지역의 8월 강수량도 60.6㎜로, 평년 289.9㎜의 20.8% 수준에 머물러 지역 전반이 바짝 말라 있는 실정이다.
김승배 한국자연재난협회 본부장은 "지난 겨울 강설량이 적었고,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바람이 건조해지는 '푄 현상'으로 인해 영동권에는 여름에도 비가 적었다"며 "13일 예보된 비도 서쪽 지역에 집중돼 강릉 등 영동권은 소량의 강수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는 가운데, 가을철 입산객 증가로 산불 위험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가을철 산불은 낙엽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며, 입산자 실화나 취사, 흡연, 소각행위 등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이 큰 편이다.

강원특별자치도소방본부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도내 산불은 총 538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53명이 사상하고, 총 5천622㏊의 산림이 소실됐다. 이 중 가을철 산불은 연평균 16건 발생했고, 평균 1.8㏊의 산림이 불에 탔다.
이에 따라 강원소방은 오는 11일부터 12일까지 산불 조심 기간에 맞춰 카모프 헬기 1대를 강릉 환동해특수대응단에 배치할 계획이다. 이 헬기는 3천 리터급 담수 능력을 갖추고 있어 기존 헬기보다 두 배 이상의 물을 실을 수 있으며, 기체 일체형 배면 물탱크를 장착해 정밀한 화점 타격이 가능하다.
또한 산불 현장에는 가뭄 대응에 사용됐던 펌프차 외에 험지용 펌프차도 추가로 투입해 진화작업에 나설 방침이다. 이와 함께 산림 인접 지역에서는 화목보일러 안전교육과 함께 농산물 소각 금지 등 예방 홍보 활동도 병행할 계획이다.
사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