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산업 박람회가 될 ‘WORLD HYDROGEN EXPO 2025’(이하 WHE 2025)가 오는 12월 4일(수)부터 7일(일)까지 4일간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WHE 2025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지난해 수소의 날(11.2) 기간 중에 열렸던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 국제 컨퍼런스와 2020년부터 개최해 온 국내 대표 수소산업 전시회인 ‘H2MEET(공동조직위원장: 한국수소연합 김재홍 회장,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강남훈 회장)’를 올해부터 ‘World Hydrogen Expo’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통합헤 개최한다고 밝혔다.
조직위는 ‘WHE 2025’가 전시회와 컨퍼런스를 아우르는 통합 플랫폼으로 출범하는 만큼, 수소산업 글로벌 기업과 핵심 리더들이 한 자리에 모여 수소경제 발전과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을 공유·논의하는 장을 제공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수소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12월 4일~7일 (4일간) 킨텍스 제2전시장(7·8홀)에서 열리는 ‘H2 MEET’는 수소 생산, 저장·운송, 활용분야 기업·기관·단체가 참가하는 수소산업 대표 전시회로 2020년 1회를 시작으로 매년 개최해 왔다.
지난해의 경우, 전 세계 24개국에서 320여개 기업과 3만 명 이상의 참관객이 방문해 세계 최고 수준의 전시회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올해는 주말 기간을 포함해 전시를 진행함으로써 일반 관람객들에게도 수소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12월4일~12월 5일(2일간)에는 기존 수소 컨퍼런스를 개편한 ‘WHE 2025 컨퍼런스’가 세 가지 세션으로 구분해 진행된다.
‘Leadership Address’세션은 한국, 일본, 독일, 미국, 호주, 말레이시아 등 주요국 정부 고위급 인사들이 청정수소 전환을 위한 국가 전략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정책방향을 공유한다.
‘Hydrogen Deep Dive’세션은 수소 공급망, 기술 상용화, 국제표준, 수소화합물 등 핵심 이슈를 주제로 세계 유수의 기업과 전문가들이 심층 발표와 토론을 통해 실행 전략을 도출할 예정이다.
‘Country Day’세션은 각국 국가관이 주최하는 기술 세미나로, 해당 국가의 수소 산업 정책과 기술 동향을 집중 조명한다.
전시회, 컨퍼런스 이외의 다양한 부대행사도 행사기간 중에 함께 개최될 예정이다. 조직위와 KOTRA가 공동 주관하는 ‘수소산업 글로벌 파트너십 상담회’(12.4~12.7)는 행사기간 중에 국내 수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 글로벌 바이어와 비즈니스 매칭을 지원한다.
‘제6차 한-독 수소 컨퍼런스’(12.3)에서는 수소정책, 생산, 저장, 활용, 안전 등 5대 분야에 대해 양국 전문가들의 활발한 기술교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26개국의 수소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세계수소산업연합회(GHIAA) 제8차 총회(12.5)는 대한민국이 글로벌 수소 협력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GHIAA(Global Hydrogen Industrial Associations Alliance)는 청정수소 경제 전환과 글로벌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 연합체로, 현재 26개국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편, 이번 행사는 글로벌 수소기업 리더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Hydrogen Council CEO Summit’(12.2~4) 일정에 맞춰 한시적으로 12월에 개최되며, 수소기업 리더들은 개막식을 비롯해 전시회·컨퍼런스·상담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기업 및 기관과 활발한 교류를 이어갈 예정이다.
조직위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World Hydrogen Expo’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세계 최고·최대 규모의 행사로 준비하고 있는 만큼, 최고 수준의 연사와 각국 고위급 정부인사, 글로벌 수소기업들의 참여를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이번 행사가 세계 수소산업의 흐름을 한눈에 조망하고, 산업 전반의 글로벌 협력 기반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성공적인 행사개최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world-hydrogen-expo.com)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