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차질 등이 이유
12월은 '보합세'… 공산품은 0.6% 하락·농림수산품은 2.6% 상승

지난해 한  청과시장 모습. 사진=김주현기자
지난해 한 청과시장 모습. 사진=김주현기자

지난해 생산자물가지수가 6%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와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평균 생산자물가지수(잠정·2015년 수준 100)는 109.6으로, 2011년(6.7%) 이후 10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1년 전(103.03)보다 6.4% 상승한 수치이며, 지수만 따지고 본다면 1965년 통계 시작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종전 최고치는 2012년 기록한 106.44였다.

지난해 1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유가 하락 등 영향으로 11월(113.23)과 유사한 113.22로 집계됐다. 전년동월대비로는 9.0%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11월(9.8%)보다 소폭 떨어졌다.

한국은행은 "생산자물가지수는 서비스 부문에서 올랐으나 국제 유가 하락 등으로 공산품 부문에서 내렸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생산자물가지수 등락률. 자료 한국은행
지난해 생산자물가지수 등락률. 자료 한국은행

전월 대비 기준 12월 부문별 물가지수 등락률은 공산품이 0.6% 하락한 가운데 석탄·석유제품(-6.7%)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고, 화학제품과 제1차 금속제품이 0.6%씩 낮아졌다.

농림수산품(2.6%), 전력·가스·수도·폐기물(1.6%), 서비스(0.3%) 등은 올랐다. 농산물은 5.2%, 수산물은 1.8%, 음식점·숙박 1.0%, 운송은 0.5% 상승했다.

딸기(172.4%), 사과(26.4%), 물오징어(19.2%), 국제항공여객(3.7%), 떡(3.8%), 햄버거·피자전문점(3.9%) 등은 오른 반면 돼지고기(-5.2%), 경유(-9.9%), 휘발유(-10.2%), 염화비닐모노머(-16.6%), TV용 LCD(-5.2%) 등은 내렸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도 전월과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원재료와 중간재가 0.1%씩 하락했다.

한편, 지난해 총산출물가지수도 8.0% 올랐고 12월은 공산품을 중심으로 0.2% 내렸다.  2021년 연간으로는 국내공급물가지수가 8.6% 올라, 2008년(18.1%) 이후 13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시사경제신문=신일영 기자]

 

저작권자 © 시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