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3일 치러지는 가운데 지난해 등급컷과 난이도 비교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올해 수능 응시자는 55만 4174명으로 지난해보다 3만 1504명(6.0%) 늘며 2019학년도(59만 4924명)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다.
재학생은 37만 1897명(67.1%), 졸업생은 15만 9922명(28.9%),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는 2만 2355명(4.0%)으로 집계됐다.
출생률이 높았던 '황금돼지띠' 2007년생이 고3으로 수능을 치르고, 의대 모집 인원이 다시 축소되면서 대입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 수능도 문·이과 구분 없이 국어와 수학 영역에서 공통과목을 응시하고 선택과목 중 1개를 골라 시험을 본다.
2026학년도 수능은 13일 오전 8시 40분부터 오후 5시 45분(일반수험생 기준)까지 전국 1310개 시험장에서 실시된다.
입시업계에 따르면 국어와 수학은 9월 모의평가 수준 난이도에 근접하고 영어는 9월 모의평가보다는 다소 쉬워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어 영역 1등급의 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131점, 인원은 2만 150명이며, 비율은 4.37%이다. 수학 영역 1등급의 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131점, 인원은 1만 8199명이며, 비율은 4.11%이다. 영어 영역 1등급의 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90점, 인원은 2만 8587명이며, 비율은 6.22%이다.
탐구영역의 경우 1등급 구분점수가 사회탐구 65~69점, 과학탐구 65~70점, 직업탐구 65~68점이었다. 사회탐구 표준점수 최고점은 생활과 윤리가 77점으로 가장 높았고 정치와 법이 66점으로 가장 낮았다.





































































